Computer Architecture
-
ARM 프로세서 ARM은 자기 자신을 언급할 때 아키텍처, 구조라는 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종 인텔사의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 오해를 받는다고 한다. 인텔사는 모든 새로운 칩 설계에 코유 코드를 부여하고 각각을 새로운 아키텍처라고 부르는 반면, ARM은 자신의 설계를 끊김이 없는 연관성이 있는 하나의 가족으로 취급한다. 새로운 변경사항이 생겨도 ARM의 한 부분일뿐 전혀 새로운 프로세서로 여겨지거나 완전히 다른것으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하며, 단지 새로운 버전 번호를 부여받을 뿐이라고 한다. ARM의 특징 메모리, 인터페이스, 라디오,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온 모듈 등이 포함된다. 임베디드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32bit 프로세서이다. RISC 아키텍처가 있는 프로세서는 CISC 아키텍처보다 적은 트랜지스..
ARM 프로세서ARM 프로세서 ARM은 자기 자신을 언급할 때 아키텍처, 구조라는 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종 인텔사의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 오해를 받는다고 한다. 인텔사는 모든 새로운 칩 설계에 코유 코드를 부여하고 각각을 새로운 아키텍처라고 부르는 반면, ARM은 자신의 설계를 끊김이 없는 연관성이 있는 하나의 가족으로 취급한다. 새로운 변경사항이 생겨도 ARM의 한 부분일뿐 전혀 새로운 프로세서로 여겨지거나 완전히 다른것으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하며, 단지 새로운 버전 번호를 부여받을 뿐이라고 한다. ARM의 특징 메모리, 인터페이스, 라디오,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온 모듈 등이 포함된다. 임베디드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32bit 프로세서이다. RISC 아키텍처가 있는 프로세서는 CISC 아키텍처보다 적은 트랜지스..
2022.09.21 -
패리티 비트 & 해밍 코드 1. 패리티 비트(Parity Bit) 정보전달 과정에서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를 말하며, 아래 사진처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끝에 1비트를 더하여 전송한다. 패리티 비트는 홀수(odd) 패리티 비트와 짝수(even) 패리티 비트로 분류하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1의 개수로 홀수와 짝수로 구분한다. 짝수 패리티의 경우 0을 붙여주고, 홀수 패리티인 경우 1을 붙여준다. 2. 해밍 코드(Hamming Code) 해밍 코드는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2bit의 오류 검출해서 1bit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수정 부호를 말한다. 오류의 검출은 물론 스스로 수정까지 하므로 자기 정정 부호라고도 지칭한다. 전송 비트 중 1, 2, 4, 8,..
패리티 비트 & 해밍 코드패리티 비트 & 해밍 코드 1. 패리티 비트(Parity Bit) 정보전달 과정에서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를 말하며, 아래 사진처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끝에 1비트를 더하여 전송한다. 패리티 비트는 홀수(odd) 패리티 비트와 짝수(even) 패리티 비트로 분류하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1의 개수로 홀수와 짝수로 구분한다. 짝수 패리티의 경우 0을 붙여주고, 홀수 패리티인 경우 1을 붙여준다. 2. 해밍 코드(Hamming Code) 해밍 코드는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2bit의 오류 검출해서 1bit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수정 부호를 말한다. 오류의 검출은 물론 스스로 수정까지 하므로 자기 정정 부호라고도 지칭한다. 전송 비트 중 1, 2, 4, 8,..
2022.09.21 -
고정소수점 & 부동소수점 실수 표현 방식 컴퓨터는 모든 수를 0과 1로 이루어진 2진수로 표현한다. 이것은 정수뿐만 아니라 소수점이 존재하는 실수도 마찬가지다. 정수의 경우 이러한 표현이 간단하지만 실수를 2진수로 표현하는 것은 복잡하다.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크게 2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1. 고정소수점(Fixed Point) 실수는 보통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실수를 표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소수부의 자릿수를 정하며,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것이다. 32bit의 실수를 고정 소수점 방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하지만 고정소수점 방식은 정수부와 소수부의 자릿수가 크지 않으므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정수를 ..
고정소수점 & 부동소수점고정소수점 & 부동소수점 실수 표현 방식 컴퓨터는 모든 수를 0과 1로 이루어진 2진수로 표현한다. 이것은 정수뿐만 아니라 소수점이 존재하는 실수도 마찬가지다. 정수의 경우 이러한 표현이 간단하지만 실수를 2진수로 표현하는 것은 복잡하다.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크게 2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1. 고정소수점(Fixed Point) 실수는 보통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실수를 표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소수부의 자릿수를 정하며,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것이다. 32bit의 실수를 고정 소수점 방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하지만 고정소수점 방식은 정수부와 소수부의 자릿수가 크지 않으므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정수를 ..
2022.09.21 -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란?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입력 자료를 받아서 처리하며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컴퓨터는 한 개 이상의 처리장치와 주변기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 장치의 몸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모니터, 하드디스크, 프린터 등 컴퓨터와 관련된 물리적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입력, 출력, 처리, 저장 기능을 담당한다. 하드웨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입력장치(Input Device) : 문자, 소리, 그림, 영상 등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장치로 키보드..
컴퓨터의 구성컴퓨터의 구성 컴퓨터란?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입력 자료를 받아서 처리하며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컴퓨터는 한 개 이상의 처리장치와 주변기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 장치의 몸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모니터, 하드디스크, 프린터 등 컴퓨터와 관련된 물리적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입력, 출력, 처리, 저장 기능을 담당한다. 하드웨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입력장치(Input Device) : 문자, 소리, 그림, 영상 등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장치로 키보드..
2022.09.21